출력을 하다보면 브릿징을 활용하면 잘 나오는 경우가 은근 많이 있습니다.이번포스팅은 브릿징을 어떠한 경우에 사용이 가능한지, 또 그 길이는 어느정도까지 되는지, 모델링을 할때 브릿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떤식의 구조가 되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모델링을 해야겠죠 ㅎㅎ 가장 단순한것부터, 단순해보이지만 사실은 안되는것 까지 한번 만들어보겠습니다.간단한 설명을 해보자면, 1. 양쪽 끝부분에 기둥이 있고 사이를 사각형으로 연결하는구조2. 테이블형으로 4개의 꼭지점에 기둥이 있는 구조3 양쪽 끝부분에 기둥이 .있지만 사이가 곡선형 판으로 연결되어있는 구조4. 테이블형이지만, 중간에 구멍이 있는 형태 이렇게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기본이기때문에 설명을 좀 더 해보는게 좋을것같긴 하네요... 1. 양쪽 끝부분에 기둥이 있고 사이를 사각형으로 연결하는구조 뭐 기구물 설계하는게 아니라면 이렇게까지 깔끔한 브릿징은 거의 없긴 합니다만.... 그래도 기본형입니다.보시는바와 같습니다. 대놓고 다리모양입니다 ㅎㅎ 2. 테이블형으로 4개의 꼭지점에 기둥이 있는 구조 대놓고 다리모양은 아니지만, 잘라서 보면 다리모양과 마찬가지 입니다. 어쨌든 선의 끝에는 기둥이 있기 때문인데요, 아래에 나오겠지만, 기둥이 필요한건 최초의 외벽부분만 있으면 됩니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3 양쪽 끝부분에 기둥이 .있지만 사이가 곡선형 판으로 연결되어있는 구조4. 테이블형이지만, 중간에 구멍이 있는 형태 3번 4번은 사실 출력이 제대로 될 리가없는 구조이긴 합니다. 출력 순서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가는데, 이건 다음과 같은 이유입니다. 출력 순서가 기둥을 먼저 출력하고, 외곽선을 두줄 먼저 출력하고, 그 다음 사이를 채우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테이블형태도 결국엔 양쪽끝에 기둥이 있는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3,4번은 왜 안될까요? 우선 3번인데, 양쪽 끝 기둥 사이를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연결하고 있습니다. 공중에서 재료를 굳힐수가 없으니 이건 당연히 실패하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4번같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테이블형 형태에서 중간이 뚫려있는 모양인데, 중간이 뚫리다보니 허공에 구멍의 외곽선을 그리기 시작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되면 그 다음 외곽선끼리 연결하면서 레이어를 채우는 내부채움도 제대로 될 수가 없습니다. 결국에는 필라멘트가 허공에 압출되면서 출력은 망하는길로 들어서게 되는거죠 ㅎㅎㅎ 그럼 출력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물론 저희는 루고랩이기 때문에 모든 출력은 포머스팜의 루고 시리즈로 진행하였습니다. ㅎㅎ 음?? 그런데 이게 대체.... 왜 실패해야하는건데 출력이 된건지 이유는 좀 알수가 없습니다 ;;;;;일단 좀 더 자세히 보겠습니다. 기본형 두가지는 역시 별 문제없이 잘 출력이 되었네요 ㅎㅎ 그런데 원래 출력이 되지 않아야 정상인데 출력이 된 애들을 한번 볼까요? 먼저 3번인데요, 뭔가 만들어지긴 했는데..... 아래쪽이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엉망입니다 ㅋㅋ 어떻게든 연결은 되었는지 조금씩 연결되는애들 위로 결과적으로는 만들어지긴 했습니다. 그래도 필라멘트가 지멋대로 돌아다니다 보니.... 바닥면 한쪽에 빨간색 전에 계속 출력걸던 알루미늄 재질 소재가 노즐에 좀 묻어있던게 그대로 여기도 묻어있네요 ㅠㅠ 이것도 원래는 출력이 안되는게 정상인데 이것도 뭐 어찌저찌 레이어가 만들어지다보니 결과적으로 출력은 되었네요 ;;; 적당히 나오기만하면 위에서보기엔 그럴싸하게 보이긴 합니다 ㅎㅎ 그래도 잘된 출력은 바닥까지 잘 나와야 잘된출력이기때문에 어느정도가 적당한건지, 어떤 형태가 적당한건지 확인을 해야 할 필요는 있습니다. 그럼 브릿징의 거리는 어느정도까지 가능할까요? 물론 프린터의 하드웨어마다 차이는 많겠지만 그래도 적당한 수준이란것은 있으니 확인을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아까의 1번타입의 브릿지 모델인데, 10mm~ 100mm까지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력은 아주 깔끔하게 잘 나왔습니다 ㅎㅎ길이가 길다보니 처짐이 발생하긴 하는데, 그래도 이정도면 쓸만하긴 합니다.동영상은.... 영상이미지를 클릭하면 유튜브 페이지로 걸어두겠습니다 ㅠ 방법을 모르겠네요 ;;; 브릿지 구조는 기본형 뿐 아니라 테이블형도 테스트 해 봐야 겠지요 ㅎㅎ 이번에는 10mm~60mm까지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솔직히 좀 극악한 테스트라.... 일단 한번 해보자 하는 생각으로 진행하였는데.... 그래도 뭐 만들어지긴 하더라구요 ^^;; 이녀석들은 꼭 동영상을 보시길 바랍니다. 동영상이나 사진에서 보기엔 그럭저럭 출력이 된것같긴 하지만..... 실상은 사용하기는 좀 어려울수도 있을정도로 쳐져있긴 합니다. 60mm정도의 거리가 기본형 브릿지라면 그럭저럭 출력이 되는데, 데스크형에서는 굉장히 쳐지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출력이 된게 더 놀랍긴 하긴 했지만요 ^^;; 20~30mm정도의 거리도 테이블형은 처짐이 꽤 있으니 주의해서 출력하셔야 합니다.(처짐의 정도는 같은 기계라고 해도 필라멘트의 종류에 따라서 더 좋을수도, 더 안좋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각형이 아닌 다른 형태에는 어떤식으로 브릿지구조를 활용하면 좋을지 팁을 드린다면!!! 간단합니다 ㅎㅎ 모서리마다 기둥이 있으면 됩니다. 튀어나온쪽, 들어간쪽 모두 말이죠. 긴 글이었지만 이제 마무리가 됐네요 ^^;; 감사합니다!